– 부산시 – 23개 기업·기관·대학 힘 합쳐
– 탄소중립 에너지혁신 추진협의체 가동
– 그린산단 조성·수소 터빈 실증 등 진행
– 액화수소 플랜트 등 인프라 구축 활발
– 수소 모빌리티 생산 선도 기반 마련돼
– BNK연구원 “장기적 투자 로드맵 필요”
부산시가 대기업과 지역 산업계, 대학, 연구기관 등과 협의체를 구성해 수소 경제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한다. 성공하면 수소 활용 분야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자동차 조선 기계 등 지역 제조업도 동반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남부발전이 운영 중인 부산역 선상 주차장 태양광 발전시설. 한국남부발전 제공 |
■수소 생태계 조성에 지산학연 협력
시는 ‘탄소중립 에너지혁신 추진협의체’를 구성해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가동한다고 2일 밝혔다. 협의체는 지난 7월 시가 한국남부발전 한화에너지·한화솔루션 BNK금융그룹과 체결한 ‘탄소중립 전환도시 실현을 위한 수소경제 성장기반 조성 업무협약’에서 논의된 사업의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도출하고, 추가 사업을 발굴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협의체는 협약 기업 외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부산상공회의소 지역대학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등 총 23개 기업·기관, 47명으로 구성돼 수소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산학연’ 협력 체계를 마련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협의체는 ▷수소에너지 생산, 저장·활용 등 생태계 조성 ▷태양광, 연료전지 보급을 통한 그린산단 조성 ▷신재생에너지 기술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사업 등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총괄지원 ▷수소 생산·저장 ▷수소 활용 ▷산업·인력 육성의 4개 분과로 구성했다. 총괄지원 분과에서는 사업 관련 인·허가 원스톱 지원, 주민 수용성 제고 등 행정지원, 금융지원 등을 제공한다. 수소 생산·저장 분과는 한화솔루션을 중심으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그린수소의 생산과 저장, 인수기지 등 인프라를 구축한다. 대표적인 사업은 해외 벙커링 연료전지 발전 사업이다. 액화수소 650t을 수입하고 이를 활용한 연료전지 발전으로 신항 내 하역장비 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내용이다. 수소활용 분과에서는 수소 혼소·전소 터빈 개발, 연료전지 발전설비 확대 등을 추진한다. 산업·인력육성 분과는 수소실증단지 조성, 전문인력 양성 등을 주도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전면적인 에너지 변화가 필요하다. 이런 변화는 힘을 합쳐야 이뤄낼 수 있다는 점에서 협의체 출범이 큰 의미를 가진다고 본다”며 “앞으로 지역의 모든 산학연이 힘을 모아 수소 중심 도시로의 전환을 끌어내고 새로운 가치,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자동차·조선·기계 등 재도약 동력으로
수소 생태계 구축은 부산을 비롯한 동남권의 제조업이 재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BNK경제연구원은 이날 내놓은 ‘수소경제의 미래와 동남권 대응 과제’ 보고서에서 수소경제의 성장이 동남권 제조업의 ‘퀀텀점프’ 요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동남권에 수소의 생산과 저장·운송, 활용과 관계된 인프라 구축이 활발하기 때문이다. 생산분야의 경우 정부가 전국에 구축하는 수소생산기지에 경남 창원(중·소규모) 부산(소규모)이 선정됐고, 저장·운송 부문에서는 울산과 경남에 액화수소 플랜트가 착공됐다.
특히 주목할 분야는 ‘활용’이다. 부울경은 수소 활용 분야의 핵심으로 꼽히는 수소 모빌리티 생산의 거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 동남권 주력산업인 자동차 조선 기계 등과 밀접하게 연계돼 있기 때문이다. 이미 울산이 ‘수소 모빌리티 클러스터 구축 사업’과 ‘수소그린 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지정사업’에 선정됐고, 경남의 ‘수소버스용 충전소 실증사업’까지 더해 수소 모빌리티 분야를 선도할 기반을 마련했다. 또 수소 모빌리티에 필요한 부품과 기자재를 만드는 철강과 금속 등의 후방산업도 함께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고서는 수소경제가 동남권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안착하려면 정부 지자체 유관기관의 일관성 있는 정책 추진과 수소 전문 기업 육성, 인프라 확충에 따른 인센티브 정책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BNK경제연구원 정영두 원장은 “수소경제는 성장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기술과 인프라 투자에 시간이 상당히 필요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로드맵을 마련하고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현주 정철욱 기자
|